서울시 '한글햇살버스', 교육부 장관 표창… 서울형 디지털 문해교육 모델 인정

키오스크, 스마트폰, AI스피커 등 체험 중심 교육으로 시민 디지털 역량 강화

이지예 기자

leessm7@gmail.com | 2025-09-19 14:00:17

▲ 2025년 찾아가는 디지털 문해교육(한글햇살버스) 포스터
[뉴스다컴]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이 8월 28일 광주광역시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에서 열린 ‘2025년 문해교육 컨퍼런스’에서 문해교육 유공 교육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찾아가는 디지털 문해교육(한글햇살버스)’을 통해 디지털 문해교육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됐다.

‘한글햇살버스’는 키오스크, 스마트폰, AI스피커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갖춘 이동식 교육사업이다. 디지털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과 문해학습자 등 디지털 소외계층에게 맞춤형 체험 교육을 제공한다. 교육 내용은 키오스크 사용법, 스마트폰‧카카오톡 활용, AI스피커 활용 등이며, 경로당‧지역회관‧복지관 등 디지털 문해교육이 필요한 기관과 학습자를 대상으로 운영한다.

서울시와 동행하는 한글햇살버스 사업은 ‘생활권 밀착방문’ 전략으로 접근한다. 교육 인력이 부족하거나 시설 여건이 열악한 곳에 방문하여 디지털 체험 교육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올해는 ‘편리한‧쾌적한‧안전한’ 교육 환경을 목표로 한글햇살버스 교육 시스템 구축을 마쳤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데스크형 키오스크, 높낮이 조절식 테이블, 휠체어 리프트 등을 설치했고, 지난 7월 30일 서울시민대학 모두의학교 캠퍼스에서 시범 운행을 완료했다.

한글햇살버스에 참여한 한 문해학습자는 “문해교실 수업이 끝나고 동료 학습자들과 한글햇살버스에서 키오스크와 스마트폰을 배우는 시간이 정말 즐거웠고, 앞으로 더 많은 사람이 참여했으면 좋겠다”는 참여 소감을 전했다.

한글햇살버스는 오는 10월부터 경로당, 지역회관, 복지관 등 디지털 문해교육이 필요한 기관으로 찾아간다. 각 기관의 신청을 받아 일일 체험교육을 진행하여, 디지털 문해교육에 관심 있는 학습자는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한용진 서울시평생교육진흥원장은 “이번 교육부 장관 표창 수상을 계기로, 약자와 동행하는 디지털 소외 없는 평생학습도시 서울을 실현하기 위해 ‘한글햇살버스’ 사업을 더욱 확대·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뉴스다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